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iDevice용 동영상 변환기를 17.4a로 업데이트 했다. 17.x대 업데이트에서 가장 크게 변경된 부분은 NVIDIA NVENC와 함께 인텔® 퀵 싱크 비디오, AMD AMF를 지원하도록 수정된 것이다. 이를 좀 더 잘 지원할 수 있도록 이전에 수행한 테스트의 결과 및 추가 테스트의 결과를 옵션에 포함시켰다. 또한, 이전 버전에서 가끔 시험적으로 지원했던 UTF-8 형식의 명령행 기능을 옵션으로 추가했다. 변환기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여전히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따위는 없다. password: teus.me 관심 있는 분들의 수많은 지적과 질타 부탁드립니다. 이 프로그램은 여러분 덕에 완성되어 갑니다. ▲ iTrans의 상세한 기..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제 DSLR 이외의 수많은 장비들이 카메라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여행을 가서 찍은 사진을 모아보면 의외로 정리가 쉽지 않다. 온라인 서비스/모바일 앱들은 정렬 순서를 Exif 촬영일자 순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PC에선 파일명 순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다보니 촬영시간 순서는 알기 힘들고 카메라 기종순으로 파일을 보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FPO는 JPEG에 저장된 Exif 정보 중 촬영일자 정보를 활용해서 파일명을 수정하고, 최대한 작은 크기로 파일을 줄여주는 프로그램이다. mozjpeg를 활용해서 파일 자체의 크기를 조금이라도 더 줄이도록 했고, 이와 별개로 resample을 적용해서 사진의 크기도 축소시킬 수 있다.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에서 이미지의 크기를 줄여주는 많은 사이트들이 있다. TinyPNG가 가장 잘 알려져있는데, 최근에는 여기서 JPEG도 지원하도록 기능이 추가되었다. 비슷한 기능을 하는 PunyPNG도 있다. 여기는 JPEG, GIF까지도 지원해준다. 그런데, 이런 사이트를 통해 이미지를 압축하려면 내가 가진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왜 내 개인 이미지를 온라인에 올려줘야 되지? 그리고, 그 사이트들이 내 이미지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나? 사실, 이 사이트들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대동소이 아니, 동일하다. 본 블로그에서도 몇 차례 소개한 적이 있던 mozjpeg, ZopfliPNG, pngquant, Gifsic..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17/08/25 - SRT 자막 관리 도우미 SRTier v2.6 공개 SRT 자막 관리 도우미 SRTier를 3.6a로 업데이트했다. 자막 변환 외에도 SRT 교정, 텍스트 추출에서도 폴더 단위로 처리할 수 있도록 변경했고, 챕터 파일도 조정하며, 후원 계좌를 표시하도록 수정했다. 이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SRT 파일 교정: SRT 파일을 읽은 뒤 오류를 수정한 뒤 다시 기록하거나 시간을 조정함 - 자막 변환: SAMI/SSA/ASS 자막을 SRT로 변환, SRT 자막을 SAMI로 변환 - 텍스트 추출: SRT 자막에서 텍스트만 추출 - 텍스트 합치기: 기존의 SRT 자막의 시간 코드에 맞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합침 - ..
집에서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한 쪽의 색감은 깔끔한데, 나머지 한 쪽은 뭔가 좀 흐리멍텅(?) 했다. 밝기랑 색감 조금 조절하다가 대충 포기하고 쓰던 중에 지인에게 툭 던져봤더니… 그거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하면 됨 빌려드림? 이라고 너무나 쉽게 얘기했다. 뭔지는 알았지만, 주변에서 이런 장비 가진 사람 본 적이 없는 나로썬 뭥미[…]에 가까운 느낌이었다… 그리고는 빌려옴. 박스는 이렇게 생겼고… 박스를 열면 이렇게 영롱한 자태가 나타난다. 그런데, 좀 알아보니, 저 제품은 라인업이 몇 가지 단계로 나뉘고, 가격에 따라 캘리를 할 수 있는 정도가 달라진다. 하지만, 사람들의 의지는 무한하여, 아예 저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드라이버와 어플을 직접 만들었으니 이름 하여… DisplayCAL 이 드라..
지난 추가 시험 이후 GTX1660을 를 새로 장만했다. 또, 지인이 라이젠 3400G를 구매해서 AMD의 HW 인코더인 AMF도 추가적인 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ffmpeg에서 AMD의 AMF 등 HW 인코더를 지원하는 부분이 안정화되고 있다. 그래서 아예 제대로 테스트 해보기로 했다. 이번에도 테스트 소스는 이전과 동일한 sintel. 공식적으로는 GTX1050Ti의 후계자는 GTX1650이다. 그런데, 자료들을 뒤져보니 코어만 튜링이고 nvenc는 1050Ti와 동일하며, 새로운 nvenc 코어는 1660부터 적용되었다. 일단 전통의(?) H.264 인코딩 결과. 당연하게도(?) x264의 용량 대비 품질이 제일 높고, 인텔 퀵싱크 비디오(이하 qsv)가 이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이전 글(소소한 업그레이드 실시)에서 얘기했듯이 새로운 NAS와 새로운 PC 환경을 구축했다. 지난 포스팅(ffmpeg용 H.264/HEVC 인코더 품질/성능 비교)들에서 진행한 시험의 추가시험을 간단하게 진행했다. 1. AMD PC 환경에서의 비디오 하드웨어 인코딩은 사실상 인텔 qsv와 엔비디아 nvenc 외엔 다른 대안이 없다. 그런데, 이 판에서 왕년에 잘 나가던 AMD는 현재 어떤 상태인지 확인해보기로 했다. 그런데, 이번에 지른 라이젠 5 2600에는 그래픽 코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마침 주변에 라이젠 5 2400G가 있어 예전 테스트와 유사한 테스트를 해볼 수 있었다. ffmpeg -i sintel.mkv -c:v h264_amf -profile main -quality quality -..
영혼을 갈아넣어 모은 약간의 자금으로 드디어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단행했다. 1. CPU/메인보드 그동안 사용하던 시스템은 i7-3770 기반이었다. 여전히 훌륭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래도 연식이 연식인지라 고심 끝에 라이젠으로 갈아탔다. 몇 년만에 써보는 AMD CPU인지 기억도 잘 나지 않는다. 마지막에 썼던 게 바톤이었나…? 자본의 한계로 올해 출시될 신형은 꿈도 못 꾸고 가성비의 황제 라이젠 5 2600을 선택했다. 우선 CPU부터 조립하고 기쁜 마음에 인증샷. 실로 오랜만에 윈도우도 완전히 새로 갈아엎고 띄워본 시스템 정보는 아래와 같다. 설치 과정에서 실수로 메인보드 팬 전원을 꽂지 않고 잠시 썼는데, 스로틀링 및 속도 저하 외엔 별 일이 없었다. CPU 타버린 AMD는 옛날 얘기고, 전..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제 DSLR의 시대는 저물고 있고, 다양한 장비들이 카메라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아니, 전통적 의미에서의 카메라라는 가치 자체가 존재하는지 모를 정도이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장비들로 찍은 사진들을 PC에서 정리해보면 의외로 정리가 쉽지 않다. 온라인 서비스/모바일 앱들은 정렬 순서를 Exif 촬영일자 순으로 하는 경우도 많지만, PC에선 파일명 순인 경우가 더 많아보인다.그러다보니 촬영시간 순도 아니고 카메라 기종순으로 파일을 보게 되는 경우도 많다. FPO는 JPEG에 저장된 Exif 정보 중 촬영일자 정보를 활용해서 파일명을 수정하고, 조금은 더 작은 크기로 파일을 줄여주는 프로그램이다.mozjpeg를 활용해서 파일 자체의 크기를 조금이..
2. 4K 가. H.264 4K 역시 1080P와 동일하게 FFmpeg 가이드에 언급된 x264의 CRF를 기준으로 처리하기로 했다. 기준으로 삼은 x264의 CRF는 역시 이전과 동일하게 17, 23, 25. 마찬가지로 열심히 반복해서 확인해보니 x264는 4K 소스에 대해 각각 49.77, 46.23, 45.09의 PSNR이 도출됐다. 다시 말하면, 4K 영상에 대해서 Q 값은 PSNR이 49 이상이면 거의 무손실, 46 정도면 충분히 양호하며 45 이상이면 사용할만한 품질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엔비디아의 솔루션인 nvenc로 인코딩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H.264 역시 x264에 비해 유사한 품질에 대해 대략 20% 정도 큰 파일을 생성해준다. 그리고, 여기서도 preset에 무관하게 결과 파..
1. 1080p 가. H.264 FFmpeg의 가이드에 따르면 x264로 인코딩하는 경우 CRF(Constant Rate Factor)가 17~18일 때 무손실에 가깝다고 한다. 또한, 충분히 양호한 품질을 원하면 CRF을 23으로 하면 되며, 사용할만한 범위는 17~28 이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값들로 동영상을 인코딩 시의 PSNR을 확인하면 다른 인코더에 적용할만한 CRF(또는 이에 준하는 값)을 역셈할 수 있다. 그래서 돌렸다. 열심히 반복해서. 우선 확인해야 할 지점은 x264가 가이드에서 얘기한 Q(CRF)로 인코딩시 어떤 정도의 PSNR을 보여주는지 하는 점이다. 샘플 영상 기준으로 볼 때, PSNR이 48dB 이상이면 무손실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 기본값인 Q=23으로 인코딩 시에는 4..
2018/02/04 - ffmpeg을 이용한 HW 비디오 인코딩 테스트 결과 0. 들어가기에 앞서 동영상 포맷의 사실상 표준이 H.264에서 HEVC로 이동하려 하지만, 한편으론 여전히 더 대중적인 쪽은 H.264이다. 온라인 방송용 앱이나 동영상 인코더들은 이 포맷들로 영상을 인코딩하는데, 어떤 것이 최선인지 궁금해졌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S/W 기반 인코더인 x264/x265와 인텔 quicksync(이하 qsv), nvidia의 nvenc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영상을 인코딩해보고 성능을 비교해보고 싶어졌다. 1. 테스트 영상 Durian Project로 만들어진 단편 애니메이션 Sintel의 일부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했다. 다섯 가지 해상도의 포맷으로 공개했는데, 이 중 BluRa..
1. 발단 지금까지 Notepad2-mod에선 내장된 Scintilla 정규식 엔진 대신 별도의 DEELX 정규식 엔진을 사용해왔다. 처음에는 여러행 검색이 가능하도록 즉, \r, \n이 검색되도록 하는 게 목적이었다. 그러다가 한글에 대해 정규식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정이 추가됐다. 이때까진 정규식 엔진을 내부적으로는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단순한 검색용으로만 사용했었다. 그러다가 일부 실험적인 표현식이 추가되었다. Add experimental RexExp syntax (\h, \H, \i and \i?): 그리고는 이 표현식을 자동완성 기능 등에서 활용하기 시작했다. 2. 이로 인한 영향 일부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터지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는 자동완성 ..
이번에 공개한 메모장2 mod r1882에는 칼라 이모지를 보여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이 기능은 윈도우 8.1 이상에서만 동작하며, 윈도우 7에서는 아래 화면처럼 비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이전 버전의 메모장2 mod에서는 이모지를 입력하면 아래처럼 표시가 되었다. 하지만, 이번 r1882부터는 같은 이모지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단, 이 화면을 보려면 설정-렌더링 기술에서 다이렉트2D를 선택해야 한다. 레거시 GDI에서는 예전과 동일하게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덧. 최신 버전의 윈도우 10에서는 이모지를 키보드로 입력하려면 [❖(Windows) + .(dot)]을 입력하면 된다.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이모지를 입력할 수 있다.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메인 프로젝트(zufuliu) 쪽에서 버전번호를 4.19.02로 변경했다. r1730에서는 XML/배치 파일 문법 강조 및 자동완성 기능 등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적용됐으며, 이후 캐럿 모양 추가 등의 튜닝과 최적화가 추가되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password: teus.me 히스토리 2019.1.5: 4.19.01 r1730 공개 - 오류 수정: XML 파일의 괄호짝 오류 수정 - 배치 파일 문법 강조 기능 오류 수정 및 코드 폴딩 추가 - 오류 수정: 이스케이프 시퀀스가 자동완성에서 잘못 동작하는 오류 수정 - 코드 최적화 - 저작권 연도를 2019년으로 수정 20..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메인 프로젝트(zufuliu) 쪽에서 꾸준히 4.2.25로 이어오던 버전번호를 4.18.12로 대폭 변경했다. 이와 더불어 상당히 많은 수정들이 적용되었다.다양한 최적화가 적용되었고, 문법 강조 기능의 세부 사항들이 수정되었으며, 전체 화면 기능이 구현되었다.또한, 윈도우 2000을 위한 레거시 코드도 제거되었고, 텍스트 복사/붙이기어 덧붙여 바이너리 복사/붙이기도 추가되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password: teus.me 히스토리 2018.12.16: r1670 공개- 자동 완성 기능을 각각 항목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수정 - 툴바 버튼에 기존의 접기/펼치기 외에 기본..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18/10/13 - 구라 제거기[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삭제] 2.16 업데이트 PC 뱅킹의 주적은 PC 뱅킹 프로그램이다. PC 뱅킹을 하고 나면 컴퓨터가 미친 듯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필두로 컴퓨터를 느려지게 만드는 악의 무리들이 너무나 많다. 전통의 명가(?) nProte**부터 안* 온라인 시큐**, 그 외에도 수많은 잡 구라들… KISA에서 I사 보안모듈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발표할 정도로 완성도가 엉망인 경우도 있다. 보안 취약점을 갖고있는 보안 프로그램이라니… 무슨 열림교회 닫힘도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몰래 설치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예 (강제로) 동의를 받아 설치된다. 마치 건물 철거 강제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얘기했듯이 메모장2의 기반 프로젝트를 zufuliu님 버전으로 바꿨다.이로써 더욱 화려해진 문법 강조와 다양한 최적화를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이전에 반영했던 모든 기능들을 반영한 버전을 공개한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password: teus.me 히스토리 2018.9.30: r1419 공개- zufuliu 버전 최초 반영 2018.10.2: r1421 #1 공개- 버그 수정: 설정 저장시 툴바 데이터를 잘못 저장하던 오류 수정 2018.10.9: r1440 공개- 버그 수정: 파일 메뉴의 메모장 대신 사용 등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오류 수정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iDevice용 동영상 변환기를 16.4c로 업데이트 했다. 15.x대 업데이트에서 가장 크게 변경된 부분은 파일명/폴더명에 어떠한 문자들이 포함되어 있어도 정상적으로 변환한다는 것이다.이전 버전에서는 파일명에 이상한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변환을 중단하였고, 이 과정에서 가끔 변환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 부분을 전면적으로 수정하여, ANSI 문자가 아닌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임시 폴더에 복사하여 처리하도록 수정했다. 이 외에도 실행파일을 임시 폴더에 복사함으로써 유사한 문제를 예방했다. 그리고, 드디어 15.1에서 HEVC를 지원한다. 물론, iOS에서 잘 재생된다. 16.x대 업데이트의 핵심은 H/W 비디오 인코딩이다.Zeranoe ..
아이폰/아이패드의 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종종 사진이나 비디오를 지워야 한다. 물론, 요즘은 구글 포토 등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백업 후에 지워버리면 되니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게다가 jpeg 대신 HEIF로 저장하면 파일의 크기는 더 줄어든다. 하지만, 반드시 장비에 남겨둬야 하는 사진도 있는 법이고, 이 역시 차곡차곡 쌓이다보면 용량을 고민해야 하기 마련이다. 이런 경우에 iBackupBot과 몇몇 프로그램들을 이용하면 공간을 좀 확보할 수 있는 꼼수가 하나 나온다. 일단, iBackupBot을 이용해서 사진과 동영상이 저장된 폴더를 PC로 추출한다.저장된 위치는 Raw File System/DCIM/***APPLE. 필요한 도구는 본 블로그의 자랑 iPress와 iTrans. 백업이 끝나면 파일들..
지난 10월 26일 모 일간지에 보도가 되었듯이 구라제거기가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 2018에서 무려 이용자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행사 자체는 아침 9시 30분 부터였지만, 개인 자격 참가 직딩에겐 그런 건 사치고 겨우 시상식 시간에 맞춰 11시 15분 경에 도착할 수 있었다.일단 커피 한 잔 뽑아들고 입장... 입장해보니 이제 발표들을 마치고 토론이 끝나갈 무렵이었다. 시상식 전 막간이 되어서야 행사 제목을 제대로 볼 수 있었다. 이윽고 막간의 시간이 지나가고 본격 시상식 시작.심사위원장, 심사위원 등을 소개... 사실, 이번 시상식에서 구라제거기는 좀 생뚱맞은 위치라는 생각이다.다른 수상작은 아래에서 보다시피 팀 단위로 개발되는 대형 프로젝트들인데, 구라제거기만 소규모 개인 프로젝트다. 받은 트로피..
iOS에서 발생한 원인을 모르는 문제의 해결책은 대부분 iBackupBot에서 해결할 수 있었다.차단 암호를 분실했을 때도 이 솔루션은 훌륭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iOS 11에서는 저장위치가 com.apple.restrictionspassword.plist로 바뀌고 별도의 복호화가 필요하지만, 여전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iOS 12에서는 더 이상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차단 암호를 iOS 키체인에 저장하기 때문이다. iOS 12에서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PinFinder로 차단 암호를 찾을 수 있다.단, 이전의 솔루션과 반대로 백업할 때 반드시 암호화가 필요하다. 다운받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백업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모든 백업 파일을 뒤져 차단 암호를 화..
집에서 사용하는 유무선 공유기는 TP-LINK의 Archer C3200이다.이전에 사용하던 Archer C7에 이어 계속 TP-LINK 제품을 사용중인 이유는 당연히 신뢰성 높은 HW 성능이다. 지금까지 공유기가 다운된 적 없는 높은 신뢰성은 물론이고, 기가비트의 속도에 3개 무선대역, 빔포밍 등등 속도와 품질도 훌륭하다.또한, 일반 USB 프린터를 연결하면 모든 내부망에서 프린터를 편하게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런데… 프린터 공유에 문제가 발생했다.윈도우 10에서 프린터 공유 어플을 실행하면 가끔 BSOD를 내뱉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펌웨어는 및 공유 프로그램 모두 최신 버전을 확인해 업데이트 했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그런데, 홈페이지를 좀 유심히 보다 보니 충격적인 사실을..
꿀뷰, 반디집 등으로 유명한 Kippler님이 클리앙에서 구라제거기를 디펜스 쳐주시며 전자서명을 언급하신 적이 있었다.하지만, 공인 인증서로 전자서명 하는 것은 일단 공인 인증서 발급비용이 부담스러워 선택할 엄두가 나지 않았다. 고심 끝에(?) 큰 효과는 없을지라도 사설 인증서를 발급해서 전자서명을 하기로 했다.구라 제거기를 포함하여 본 블로그에서 배포하는 프로그램은 향후 이 인증서로 전자서명 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이 인증서 정보는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 속성에서 볼 수 있으며… PC에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서를 설치한 뒤 구라 제거기를 실행하면 알 수 없는 게시자가 아니라 확인된 게시자: BLUEnLIVE/TEUS CA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이 전자서명이 커다란 보..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18/7/14 - 구라 제거기[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삭제] 2.13 업데이트 PC 뱅킹의 주적은 PC 뱅킹 프로그램이다. PC 뱅킹을 하고 나면 컴퓨터가 미친 듯이 느려지기 때문이다.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필두로 컴퓨터를 느려지게 만드는 악의 무리들이 너무나 많다.전통의 명가(?) nProte**부터 안* 온라인 시큐**, 그 외에도 수많은 잡 구라들… 얼마 전 KISA에서 I사 보안모듈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발표할 정도로 완성도가 엉망인 경우도 있다. 보안 취약점을 갖고있는 보안 프로그램이라니… 무슨 열림교회 닫힘도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몰래 설치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예 (강제로) 동의를 받아 설치된다.마치 건물 철거 강제..
지인이 사용하던 공유기를 교체하면서 겪은 삽질을 정리한 포스팅 1. 서[序] 지인이 기존 사용하던 벨킨 공유기의 성능이 한계에 봉착했다. 시놀로지 NAS를 제대로 써먹어보려니 고정된 IP주소 부여가 불가능해서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이 어려워진 것이다. 일단 우리 집에 남아돌던 ipTIME A2004NS 모델을 공수했다.그러나 n년 경과 후 맛이 가는 ipTIME 답게 유선 포트가 작동하지 않아 인터넷 접속 자체가 불가능했다. 이 모든 배경이 모든 작업의 서막이 되었다. 2. 파[破] 결국 현재 보유한 장비만으로 구성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새로 장비를 구입하기로 했다. 자금의 압박이 크기 때문에 ASUS RT-AC56U 공유기를 구매하기로 했다. 한때 동급 최고의 성능을 내는 제품이었으며, 요즘은 저렴..
메모장2는 현재 상태가 좀 애매하다.원작자 Florian Balmer가 5.0.26-beta4를 공개한 것이 2012년 10월이니 이미 6년이 되어가고 있다. 많은 수정들을 한 곳에 모은 XhmikosR의 메모장2는 2017년 8월을 마지막으로 아카이빙 해버렸다. 기본이 되는 Scintilla는 계속 업데이트가 되고 있어 본 블로그에서는 그 내용 중심으로 수정해왔다. 그러다 귀인(?)을 발견했는데, 그것이 zufuliu의 메모장2다.여기서는 Scintilla의 최신 업데이트는 물론이고, 기능의 수정 및 개선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사소한(?) 문제가 하나 있는데, 그동안 자체적으로 수정한 내용들이 너무 많아서 반영 및 확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현제 시간을 충분히 사용해서 이러한 수정..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티스토리의 HTTPS 지원이 드디어 이루어졌다! 본 블로그도 이제 https://teus.me가 기본 주소가 되었다! 왜 굳이 HTTP 대신 HTTPS를 써야 하는지는 워낙 많은 글에서 찾아볼 수 있으니 한마디로 얘기하면…더욱 안전하게 블로그를 사용할 수 있다! 2년여 전에 꿀뷰와 반디집 등으로 유명한 반디소프트도 HTTP 만을 지원하다 외부 공격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을 정도로 HTTPS의 지원은 필수이다. 게다가, HTTPS가 암호화/복호화를 거치며 더 느릴 것이란 생각도 이미 깨진지 오래다. HTTPS가 중요한 이유는 구글에서 나온 글을 보면 될 것 같고, 기술적인 면은 한국데이터진흥원이나 생활코딩의 글을 보면 된다. 그리고, 티스토리의 설정은 티스토리의 알림글을 참고..
우리가 사용하는 역법은 그레고리력이고, 엑셀에서도 당연히 그레고리력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엑셀에서 날짜는 단순한 숫자의 형태로 저장된다.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1900년 1월 1일을 1로 시작하여 하루가 지날때마다 1씩 증가시키는 것이다.그래서, 엑셀에선 두 날짜 간의 간격을 계산하는 것은 단순한 빼기만으로 손쉽게 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의 윤년 계산에 오차가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법이다.율리우스력에서 단순히 4년마다 윤년을 두어 오차가 생기던 문제를 조금 복잡한 윤년 규칙을 부여하여 거의 해결했다. 윤년의 규칙은 아래와 같다. 1.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 그 밖의 해는 평년으로 한다. 2. 단, 4로 나누어 떨어지지만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한다...
잘 알려져있다시피 컴퓨터에서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할 때는 RGB 그대로 저장하는 것보다 YCbCr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RGB는 특성상 중복되는 값이 많이 들어가며, 이러한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변환 및 서브샘플링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YCbCr 또는 YUV의 표기법을 읽다보면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YCbCr, YUV, Y'CbCr, YPbPr 등등… 일단, 간단히 이 용어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Y? Y'? 결론부터 간략히 얘기하자면, Y와 Y'는 사실은 정확히 같은 값은 아니다. Y는 Color Science에서 다루는 RGB의 가중치 합인 휘도를 의미한다. 반면, Y'는 Luma라 불리우며, 감마 변환된 RGB 즉, R' G' B'의 가중치 합이다. 2. U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