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한 쪽의 색감은 깔끔한데, 나머지 한 쪽은 뭔가 좀 흐리멍텅(?) 했다.
밝기랑 색감 조금 조절하다가 대충 포기하고 쓰던 중에 지인에게 툭 던져봤더니…
그거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하면 됨
빌려드림?
이라고 너무나 쉽게 얘기했다.
뭔지는 알았지만, 주변에서 이런 장비 가진 사람 본 적이 없는 나로썬 뭥미[…]에 가까운 느낌이었다…
그리고는 빌려옴.
박스는 이렇게 생겼고…
박스를 열면 이렇게 영롱한 자태가 나타난다.
그런데, 좀 알아보니, 저 제품은 라인업이 몇 가지 단계로 나뉘고, 가격에 따라 캘리를 할 수 있는 정도가 달라진다.
하지만, 사람들의 의지는 무한하여, 아예 저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드라이버와 어플을 직접 만들었으니 이름 하여…
DisplayCAL
이 드라이버와 프로그램은 DisplayCAL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그런데, 윈도우 10에서는 서명된 드라이버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의 작업이 필요하다.
드라이버를 설치한 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영롱한 자태를 볼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을 하려면 일단 측정 장비를 모니터 앞에 갖다대야 한다.
측정 위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조절 가능.
이렇게 갖다대기만 하면 화면에 밀착되지 않아 실제로는 손을 좀 썼음
캘리 하기 전에 모니터의 감마와 RGB를 조절해서 최대한 화이트포인트를 조절해야 한다.
모니터 OSD에서 이리저리 값을 바꿔보니…
이윽고 화이트포인트가 잘 맞았다는 표시가 나온다.
녹색 체크 표시가 화이트포인트가 잘 맞았다는 의미임
이제 본격적인 캘리브레이션 시작.
다양한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소요 시간은 다르다.
전체적으로는 한 30분 이상 소요된 듯.
진행하는 동안 특별히 주의할 점은 없고, 주변 조명을 변하지 않게 유지할 필요가 있음.
다음으로 뭔가 흐리멍텅한 두 번째 모니터.
아무리 잘 맞춰도 녹색 체크 표시는 나오지 않는다. 게다가 조금만 값을 바꾸면 레벨이 계속 널뛰기를 한다.
어쨌거나 이 정도에서 본격 캘리브레이션 시작.
이렇게 캘리브레이션을 마치고 나니 두 모니터의 색감이 상당히 비슷해졌다.
before 사진이 없는데, 그 땐 둘의 색감이 눈에 띄게 달랐음
part2.
한동안 이 상태로 쓰다 보니 두 번째 모니터의 색이 뭔가 좀 아리송하다.
색 자체는 메인 모니터와 비슷한데, 뭔가 음영 같은 부분을 표시할 때 어색한 느낌.
머리를 잔뜩 굴린 결과, 이 건 단순히 모니터가 많이 후져서 벌어진 상황이란 결론을 내렸다.
즉, RGB 조절에서 일단 계조가 좀 압축됐고,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적용하면서 다시 계조가 더 압축된 게 현 상황의 원인이라는 판단.
그래서, 두 번째 모니터는 RGB를 기본값으로 돌린 뒤에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하기로 했다.
이왕 하는 김에 메인 모니터도 마찬가지로 기본값에서 캘리브레이션.
캘리브레이션을 마친 결과, 색감은 이전과 비슷한데, 음영의 색도 제대로 표시된다.
역시 모니터를 저렴한 걸 쓰려면 손발의 고생이 필요하다…
덧. 두 번째 모니터는 또 DP-DVI 케이블을 연결했더니 화면 인식이 안 되는 문제가 있어 속을 한번 더 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