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시놀로지 NAS와 라즈베리 파이 간에 파일 연동에 samba를 사용해왔다.거창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었고, SMB 정도면 쓸만한 프로토콜이라는 편견이 아무래도 컸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시놀로지와 Kodi 모두 리눅스 환경에서 동작하는데, 웬 samba냐…게다가, SMB 프로토콜 자체는 꽤 안정적인 게 사실인데, samba는 결코 그런 수준이 아니다… 라즈베리 파이도 새로 산 김에 관련 환경을 바꿔보기로 했다.그런데, 이왕에 바꿀 거 다른 프로토콜들이랑 성능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도 확인해보기로 했다. 비교 대상은 NFS, WebDAV, sftp.특히, WebDAV은 http, https(SSL) 환경에서 속도를 모두 비교해보기로 했다. 비교 방법은 단순하다.LAN 환경에서 특정 파일(1.4..
몇달 전에 출시된 라즈베리 파이 3 모델 B+를 질렀다.이전 모델인 3 모델 B도 갖고 있고, 멀쩡히 잘 돌아가지만, 지름신이 강림하면 다 필요 없는 일.게다가, HEVC 동영상에선 가끔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기도 하고… 1. 라즈베리 파이 3 모델 B+ 이전 모델들과 가장 다른 점은 SoC에 히트 스프레더(뚜껑)가 달려있다는 점이다.물론, 칩들의 배치도 일부 바뀌었고. 참고로, 3 모델 B는 아래와 같다.SoC에 적혀있는 모델 번호가 보인다. 케이스를 따로 사는 것이 귀찮아서 케이스를 함께 판매하는 곳을 찾았다.케이스에는 (사진에선 잘 안 보이지만) 방열판과 함께 쿨링팬이 포함되어 있다. 방열판은 총 3개가 들어있다.각각 SoC, 이더넷, 전원 안정기에 부착할 것들. 조립을 끝낸 모습은 아래와 같다.냉각..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PC 뱅킹의 주적은 PC 뱅킹 프로그램이다. PC 뱅킹을 하고 나면 컴퓨터가 미친 듯이 느려지기 때문이다.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필두로 컴퓨터를 느려지게 만드는 악의 무리들이 너무나 많다.전통의 명가(?) nProte**부터 안* 온라인 시큐**, 그 외에도 수많은 잡 구라들… 얼마 전 KISA에서 I사 보안모듈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발표할 정도로 완성도가 엉망인 경우도 있다. 보안 취약점을 갖고있는 보안 프로그램이라니… 무슨 열림교회 닫힘도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몰래 설치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예 (강제로) 동의를 받아 설치된다.마치 건물 철거 강제 집행하면서 동의서 서명당하는 기분이다 그래서 간단히 만들었다.설치 프로그램 목록..
오랜 고심(?)끝에 SSD를 구입했다.역시 SSD 구입시 가장 큰 고민 거리는 시스템 드라이브를 복제하는 것.당연한 얘기지만, 파일을 복사하는 것만으로는 시스템 드라이브로 사용할 수 없다. 물론, 새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귀차니즘의 압박이[...] 이 경우 가장 널리 언급되는 프로그램은 EaseUS Todo Back Free이다.깔끔한 인터페이스, 강력한 복제 기능 등 대부분의 상황에서 손색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원본 디스크에서 시스템 파티션 하나만 복제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정확히는, 복제는 되는데 그 드라이브로 부팅을 할 수가 없다. SSD를 구입하는 경우라면 기존에 설치된 HDD보다 용량이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 문제는 치명적이다. 이런 상황까지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에 공개되는 버전은 r1006에 추가적으로 Scintilla 4.0.1 업데이트를 추가로 반영하고, 블럭 전/후 삽입, 커서 좌/우 삭제 등 편집 관련 소소한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반영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password: teus.me 히스토리 2017.7.15: r995 #1 공개- Scintilla 3.7.5의 추가 업데이트 반영 (~'17.7.12)- 압축시 비밀번호 적용(password: teus.me) 2017.8.24: r1006 공개- r995 ~ r1006 내용 반영(~'17.8.16)- Scintilla 4.0.1 업데이트 반영- center Mess..
2016/04/01 - 연산 결과를 0~255 이내로 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무어의 법칙이 사실상 깨진 것이나 다름 없고, 수년 전부터 CPU 성능의 향상은 클럭 속도 향상보다는 병렬처리 쪽에 더 힘이 실리고 있다. 이를 위해 다중 코어 프로세서가 일반화되었고, 다양한 SIMD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컴파일러에서도 지시자를 통한 OpenMP, 자동 병렬화 및 SIMD의 intrinsic 함수를 원활히 지원하는 추세이다. 이미지 리샘플링을 구현하면서 다중 코어 활용 기술과 SIMD를 모두 적용해서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해뒀다. 그런데, 이 구현 방식들 간에 어느 정도나 성능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을 해보고 싶어졌다. 구현한 리샘플링은 Lanczos3 및 Mitchell-Netravali 두..
많은 무손실 압축 방식들이 창궐하지만, 역시 여전히 이 바닥 거목은 zip이다.그리고, 이 zip의 압축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구글에서 공개한 Zopfli가 있다. (이전 블로그 글 참조) 하지만, 이 Zopfli는 뛰어난 압축률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너무 느려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또 하나의 시도가 바로 fast_zlib이다. 이 추가 라이브러리는 기존 zlib에서 longest_match()를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라이브러리의 특징은 더 작은 파일을 더 빠른 시간에 생성해내는 것이 특징이다. C 버전과 어셈블리 버전 두 가지로 구현되어 있어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참고로, 어셈블리 버전은 x86 용으로만 개발되어 있어 x64 환경 등에서..
PC용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올라와서 설치… 일단, 설치 전의 BIOS 버전은 3.4, 2016년에 배포된 BIOS니 당연히 취약점을 갖고 있다. HP 홈페이지에 올라온 업데이트를 받아서 실행. 시간이 좀 흐르고… 이윽고 설치가 완료됐다. 재부팅을 마친 뒤 확인해보니 업데이트는 일단 잘 된 것 같다. 그리고, 그 유명한 InSpectre를 돌려보니 느려진다[…] 역시 다음 PC는 라이젠으로 가야겠군… 덧. 007 소설 원작자인 이언 플레밍 사후, 존 가드너의 첫 007 소설이 였는데, 이 작품에서 주요 소재로 Meltdown이 사용됨.Spectre는 제임스 본드의 숙적.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17/12/09 - HEIF 파일 변환? 그게 왜 어렵지?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했듯이, 지금까지 공개된 윈도우용 HEIF 변환 프로그램들은 뭔가 많이 부족하다. mp4box와 ffmpeg만 잘 활용해도 변환의 상당부분을 처리할 수 있는 걸 보면 아직 상용 프로그램들의 갈 길은 먼 것 같다. 그래서 답답한 내가 직접 만들어봤다. 이 프로그램은 HEIF을 읽어서 정보들을 추출한 뒤에 mp4box와 ffmpeg을 활용해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 색상 프로파일, Exif 등을 모두 제대로 읽어내어 살리며, 덤으로 파일의 시간 정보도 Exif에 기록된 시간을 사용한다. 혹시 타일 방식이 아니라 Ani GIF처럼 여러 장의 이미지가 들어있는 경우는 각각의..
2017/11/05 - 가장 빠른 iDevice용 동영상 변환기 iTrans v15.1 공개 ffmpeg으로 동영상을 인코딩할 때는 기본적으로 SW만을 사용한다.HW 인코딩을 자동으로 사용하는 줄 알았는데, 확인해보니 역시 그럴 리가 없없다… ffmpeg에서 HW 인코딩을 하는 방법에 대해선 ffmpeg 홈페이지를 뒤지면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용 ffmpeg 빌드의 대표주자인 Zeranoe 님 빌드에선 NVENC, Direct 3D 11, Direct 3D 9, 인텔 QSV 등을 지원한다. C:\bluenlive>ffmpeg -hwaccels ffmpeg version 3.4.1 Copyright (c) 2000-2017 the FFmpeg developers built with gcc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PC 뱅킹의 주적은 PC 뱅킹 프로그램이다. PC 뱅킹을 하고 나면 컴퓨터가 미친 듯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필두로 컴퓨터를 느려지게 만드는 악의 무리들이 너무나 많다. 전통의 명가(?) nProte**부터 안* 온라인 시큐**, 그 외에도 수많은 잡 구라들… 얼마 전 KISA에서 I사 보안모듈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발표할 정도로 완성도가 엉망인 경우도 있다. 보안 취약점을 갖고있는 보안 프로그램이라니… 무슨 열림교회 닫힘도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몰래 설치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예 (강제로) 동의를 받아 설치된다. 마치 건물 철거 강제 집행하면서 동의서 서명당하는 기분이다 그래서 간단히 만들었다. 설치 프로그..
2017년 9월 20일 iOS 11이 공식적으로 공개되면서 HEVC와 함께 HEIF가 공개됐다.그런데,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지 않은 HEVC에 비해 이미지 포맷인 HEIF는 진입장벽 자체가 너무 높다.사실, 현재까지는 윈도우 환경에서는 HEIF 포맷을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자체가 아예 없다. 1. HEIF 변환 프로그램 그런데, 눈을 조금만 돌려보면 HEIF를 다른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있다. 최초의 HEIF 변환 프로그램이라고 광고하는 iMazing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은 광고에 비해선 실속이 좀 없는 편이다.일단, 변환할 수 있는 HEIF 파일은 오로지 iOS 11에서 만들어진 파일만 가능하다.JPEG로 변환시에 품질을 별도로 지정할 수도 없고, Exif 및 색상 ..
2017년 9월 20일 iOS 11이 공식적으로 공개되면서 HEVC 사용을 준비했고, 여러 가지 경험을 통해 다소의 장벽들을 확인하게 됐다.앞으로 상황은 바뀔 것이고, 문제는 해결되겠지만, 현재 기록해둘만한 것으로 판단되는 내용들을 정리해본다. 1. 압축률은 높고 화질은 좋은가? 이건 말할 필요가 없을 수준.앞의 포스팅들에서 확인했듯이 품질 대비 용량은 강력하다. 2. hev1? hvc1? HEVC 동영상에 적용할 수 있는 FourCC는 HEVC, hev1, hvc1 등등이 있다.이 중 ffmpeg에서 x265로 인코딩하면 hev1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렇게 생성한 동영상은 iOS에 들어갈 수 없다.오로지 iOS는 FourCC가 hvc1인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다. 즉, 아래와 같이 명시해야 한다. ff..
2016/06/26 - PayPal을 통한 후원을 받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PayPal을 통해 후원을 받았습니다. 후원해주신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지난 4월경부터 우리나라 사용자끼리 송금이 되지 않도록 변경되면서 PayPal을 통한 후원이 힘든 상황이 되었습니다.여러가지 대안을 찾아봤지만, 쓸만한 서비스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고심 끝에 계좌를 공개합니다. 계좌는 위와 같고, 블로그 헤더에서 마우스 커서를 올리는 것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또한, 프로그램들에서도 같은 계좌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있습니다. 후원해주신 분들께선 블로그 댓글/방명록에 내용을 적어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본 블로그에서 다운받은 프로그램들을 유용하게 사용하신 분들의 많은 후원을 기다리겠습..
2017/10/01 - H.264 vs HEVC 변환 추가시험 결과 이전 포스트 이후 그 결과를 사용해서 H.264(CRF=23) 및 HEVC(CRF=24)로 인코딩 해본 결과 화질이 좀 이상하다는 것을 느꼈다.H.264 CRF의 기본값인 23으로 인코딩했을 때 지글거림이 살짝 눈에 띈 것이다. 이에 따라 절반 정도의 크기에 유사한 화질을 보여준 HEVC CRF=24 역시 권장값으로 쓰는 것도 한번 더 생각해보게 됐다. 이제 2-passes 인코딩은 별 의미가 없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CRF 값을 좀 더 세분화해서 테스트를 해봤다. H.264 CRF=23을 기준으로 봤을 때, HEVC에서 CRF=24를 권장으로 하기엔 뭔가 좀 아쉬운 면이 있다.HEVC에서 CRF=22를 적용하면 H.264 CRF=23에..
2017/09/30 - H.264 vs HEVC 변환 시험 결과 이전 포스트에서 했던 H.264과 HEVC 변환 시험의 결과에서 뭔가 부족한 느낌이 있어 조금 더 시험해봤다.애초에 목표가 HEVC가 괜찮은 방식인지 확인하는 것과 적절한 HEVC의 목표치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인데, 목표치를 성급하게 결론낸 것. HEVC에 대해서 CRF를 22, 28 외에도 24, 25로 설정한 뒤에 같은 측정을 해봤다. 요지는 HEVC에서 CRF를 24 또는 25 중 어떤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가를 보는 것… 우선 MPEG2 클립에 대한 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다.24로 설정했을 땐 H.264(CRF=23)에 비해 절반 정도의 파일 크기에 PSNR은 0.5 정도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25로 설정했을 땐 조금 ..
iOS 11이 9월 20일에 공식적으로 공개됨으로써 이제 아이폰에서 공식적으로 HEVC를 지원하게 되었다.이에 따라 이 포맷이 과연 알려진 것만큼의 높은 압축효율을 보여주는지, 인코딩 시간은 어느 정도 소요되는지 확인해보고 싶어졌다. 테스트 항목은 대략 이 정도로 제한했다. - 소스 비디오: MPEG2 BluRay, H.264 영화, H.264 애니메이션 각 2분 이내- 1 패스(CRF 지정)와 2 패스(비트레이트 지정) 모두 수행- 원본과의 PSNR 비교 1 패스 CRF는 ffmpeg에 적용되는 x264/x265의 기본값들을 적용했고, 비트레이트는 적절하게 3가지 값을 적용했다. MPEG2 클립을 변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우선 눈에 띄는 것은 1 패스와 2 패스 간에 유의미한 경향상 차이는 보이지 않..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15/12/17 - SRT 자막 관리 도우미 SRTier v1.7a 공개 SRT 자막 관리 도우미 SRTier를 2.4a로 업데이트했다. 옵션을 더 추가하고, 한글/영문 자막에 특화된 옵션들을 따로 버튼에 할당했다. 이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SRT 파일 교정: SRT 파일을 읽은 뒤 오류를 수정한 뒤 다시 기록하거나 시간을 조정함- 자막 변환: SAMI/SSA/ASS 자막을 SRT로 변환, SRT 자막을 SAMI로 변환- 텍스트 추출: SRT 자막에서 텍스트만 추출- 텍스트 합치기: 기존의 SRT 자막의 시간 코드에 맞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합침 조금 더 상세히 보면 기능들은 이렇다. 1. SRT 파일 교정 - OCR 과정..
토렌트 기능이 있는 NAS의 사용자라면 많이들 Transmission Remote GUI를 사용한다.그런데, source forge를 통해 공개된 5.0.1을 사용하려니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아래와 같이 한글 이름의 마그넷 링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 좀 더 뒤져보니 source force에 공개된 소스는 5.0.1인데, github에는 5.5.2까지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컴파일을 하려면 Free Pascal Compiler와 Lazarus가 필요한데, source forge에서 설명한대로만 하면 별 문제 없다.참고로, 문서에선 각각 2.6.2와 1.0을 권장하는데, 최신버전(각각 3.0/1.6.2)에서 아무런 문제 없이 컴파일 된다. 내가 적용한 방식은 Lazarus IDE에서 컴파일..
시놀로지 NAS는 파일 서버 외에 토렌트 머신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Download Station에서 토렌트 기능을 준수하게 지원한다. 하지만, 웹 인터페이스는 언제나 그렇듯이, 웹이라는 이유만으로도 1% 부족하다.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려면 Transmission GUI를 설치하면 된다. 0. 설치에 앞서… 다운받을 파일이 저장될 폴더의 진짜 위치를 확인한다.File Station에서 폴더 우클릭 → 속성에 가면 확인할 수 있다. 1. 시놀로지 NAS에 Transmission 설치 우선 패키지 센터로 가서 신뢰 수준을 살짝 조정해준다.아래와 같이 설정 → 일반에서 신뢰 수준을 변경하면 된다. 다음으로 설정 → 패키지 소스로 가서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 이름: 아무거나위치: http://..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Scintilla 3.7.5 업데이트를 반영하고 정규식이 한글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오류를 수정한 버전. 1 .Scintilla 3.7.5 업데이트 반영 2. 오류 수정: 정규식에서 한글 처리를 잘 못하는 문제 수정(참고 포스트: Notepad2-mod 정규식 오류 수정 삽질기)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모든 일은 한 줄의 제보에서 시작됐다. #엄격 #근엄 #진지 원래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불편한 점이 한 가지 있는데, 정규식으로 한글 문자열을 바꿀 때 문제가 있더군요. 예를 들어 "가나다aBc1"라는 문자가 있을 때… 메모장2에서는(아마도 Scintilla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편집기는 모두…) 한글에 대해 정규식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즉, 아래와 같이 입력한 상태에서… 찾을 문자열을 ([^\dA-Za-z])로 하고 바꿀 문자열에 \1-을 입력하여 모두 바꾸기를 실행하면…ANSI 모드에선 아래와 같은 충격적인(?) 결과가 나온다. 유니코드 모드에서는 조금 다르지면 역시 충격적인 것은 마찬가지[…] 이는 근본적으로 Scintilla의 정규식 엔진 및 본 블로그 배포버전에서 사용되는 DEELX 정규식 ..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15/10/21 - 한/글(HwpML) 파일 압축기(HIS) 3.1 업데이트 실로 오랜만의 업데이트다. HWPML 외에 한/글 표준 문서(HWPX) 포맷의 처리 기능을 추가했고, 옵션을 단순화하는 등의 대대적인 개선을 한 버전을 공개한다. 이 버전에서 수정된 사항들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1. 이미지 변환 모드를 3종류로 간략화 2. 기본 모드를 JPEG에서 PNG로 변경 (BMP→PNG) 3. Spin control 추가 4. 구형 hwp 형식인 경우 한/글 표준 문서로 변환하라는 메시지를 출력 5. 작업 후 작업 소요 시간을 표시함 6. 아이콘 살짝 변경 7. 기부 버튼 추가 [이미지 처리] 8. 이미지 리샘플링 기능 제거 9..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r992를 반영하고, Scintilla의 추가 업데이트를 반영한 버전임. 그 외에 정규식 처리의 오류를 수정하였음. 1. r992 반영: CSS 문법 강조 추가/수정 2. Scintilla 3.7.4 추가 업데이트 반영 (2017.4.22 까지) 3. 오류 수정: 정규식/와일드 카드 문자열 바꾸기에서 공백을 잘못 치환하는 문제 수정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새 버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랜만의 업데이트. Scintilla를 3.7.4으로 업데이트한 Maintenance release임. 1. Scintilla 3.7.4 업데이트 및 이후 추가 업데이트(~ April 2, 2017) 반영 2. Scintilla 3.7.4 오류 수정: "Position.h", include 문제, Msimg32.lib 링크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2017/03/20 - Google의 Guetzli는 정말로 높은 압축률을 달성한 것일까? 지난 포스팅에서 구글 guetzli와 모질라 mozjpeg의 성능을 간단히 비교해봤다.그런데, 스스로에게 약간 미심쩍은(?) 부분이 있어 추가로 비교를 수행했다. 미심쩍은 부분은 아래와 같았다. 1. libjpeg가 발생시키는 artifact를 줄였다고 하는데, artifact가 없는 인공적인 이미지에서 테스트하면 어떨까2. PSNR 외에 PSNR-HVS-M의 차이는 어떨까3. 다른 사진에서도 지난 포스팅과 비슷한 결과가 나올까4. png 압축의 최고봉인 pngquant와 비교하면 어떨까 그래서 테스트의 범위를 좀 확대해봤다.이미지는 총 5가지에 대해 수행했고, guetzli, mozjpeg 외에 pngquant로..
2017/03/18 - Guetzli: 구글이 만든, mozjpeg보다 더 압축률이 높은 jpeg 라이브러리 이전 포스팅에서 Google에서 공개한 Guetzli를 소개했다. mozjpeg에 참가하는 pornel 씨는 120배 느리다는 얘기를 했지만, 어쨌거나 동작도 하고 쓸만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어느 정도 더 향상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고 싶어졌다. 동일한 원본을 놓고 처리한 뒤 파일 크기와 PSNR을 비교함으로써 성능의 차이를 확인해보기로 했다. 대상 이미지는 아무런 기준 없이(ㅋㅋㅋ) 해상도 별로 3개를 선정했다. 1. 작은 크기(635×443) / 51.6KB 2. 중간 크기(3264×2448) / 1.17MB 3. 큰 크기(9803×6998) / 2.52MB 이 3개의 이미지에 ..
최근에 개발된 이미지 포맷이 많지만, 여전히 널리 쓰이는 포맷은 jpeg와 png이다. 아무래도 '바퀴를 다시 발명하는 것을 싫어하는' 본능도 한몫 했을 것 같고… 그리고, jpeg 압축률의 최강은 mozjpeg이었다. 적어도 어제까지는… 그런데, 구글이 또 뭔가를 저지른 것 같다… 2017.3.16 구글은 블로그를 통해 Guetzli라는 라이브러리를 공개했다. jpeg 표준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더욱 높은 압축률을 보여주는 솔루션이다. 그런데, 이전의 Zopfli와 Brotli가 그랬듯, 이번에도 빵 종류에서 이름을 따왔다. 아직 초기 단계라 그런지 정상적으로 동작만 하는 수준이고 무척이나 느리다. (mozjpeg보다 120배 느리다고) 직접 돌려보니 대략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었음. 1. 느린..
한동안 블로그에 웹 폰트를 적용했다 다시 일반 폰트로 바꿨다.어떠한 환경에서도 동일한 화면을 보여준다는 장점이 무색하게 어떠한 환경에서도 글자가 보기 싫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단비와도 같은 글을 PPSS에서 만났다: 한국어와 웹 폰트에 관한 6.1가지 사실 글자가 보기 싫었던 문제는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했다. 1. 단지 윈도우 환경에서만 발생2. 화면을 눈에 띄지 않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보정이 가능함 위의 글에선 0.0000000001도를 돌리는 것으로 css를 썼는데, 파이어폭스에선 그렇게 하면 아예 반응이 없다.아래와 같이 0.001도 정도가 적절한 듯. h1, h2, div.article, div.communicateList, div#sidebar{ transform: rotat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