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유기 2대를 사용해오면서 모두 DD-WRT를 설치해서 사용해왔다.
이로써 순정 펌웨어에서 느낄 수 없는 다양한 기능들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었다.
DD-WRT에는 Mesh 기능도 갖춰져있고, 공유기가 두 대라 이를 적용할 수도 있었다.
그런데, 막상 적용을 해보려니 무엇부터 시작해야될지 알 수 없었다.
내친 김에 많이들 추천하는 Mesh 구성을 나도 해보고 싶었다.
요즘은 심지어 ipTIME에서도 Mesh를 지원하는 공유기들이 많이 나와서 선택의 여지도 많은 편이다.
이 시리즈는 아예 Home Mesh 라는 이름을 달고 나와서 무진장 편한 Mesh 설정을 제공해준다.
박스를 벗기면 이렇게 두 대가 나란히 들어있다.
이 제품은 일단 심플하고 작다. 이건 최고의 장점이다.
이 작은 디자인에 4대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연결도 빠방하다.
SSID는 2.4GHz와 5GHz 구분 없이 동일하게 사용하게 되어있는데, IoT 장비[각주:1]에서도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더넷 포트는 WAN/LAN 구분 없이 아무데나 꽂으면 알아서 동작한다.
Mesh 구성을 위해서는 그냥 두 장비를 연결만 하면 된다. 유선이든 무선이든.
하지만, 이 장점은 그대로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USB 포트도 없고[각주:2], 이더넷 포트도 둘 뿐이다.
그래서 장비를 더 연결하려면 스위칭 허브[각주:3]를 연결해야 한다.
단지 이렇게 연결만 하고, 모바일 앱으로 기본적인 설정을 하기만 하면 모든 설치가 끝난다.
아래 화면과 같이 Mesh 구성 등은 다 알아서 해준다.
공유기들 중 어느 것을 Mesh 컨트롤러[각주:4]로 사용할지 여부나 IP 주소 대역 등도 모바일에서 설정할 수 있다.
단, 이런 설정은 웹 화면에서는 설정할 수 없고, 아래와 같이 멋지게 전시만 가능하다.
DD-WRT에서 이런 수준의 편리한 Mesh를 지원해줄 때까진 이 환경을 유지할 것 같다.
그동안 수고 많이 한 DD-WRT에게 작별을...
NVMe M.2에 설치된 윈도우 시스템 복제 (5) | 2021.02.10 |
---|---|
CBigInt 포팅 삽질기 (3) | 2020.11.15 |
IEC와 EEI/IEEE의 역률(PF)의 부호 차이 (0) | 2020.10.25 |
[MFC] CDialog vs CDialogEx (0) | 2020.10.11 |
T-Mobile TM-AC1900에 DD-WRT를 깔고야 말았다 (3) | 2020.10.07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