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도 썼지만, 윈도우11을 라이젠 CPU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fTPM은 뭔가 좀 많이 찝찝하다.
스터터링 이슈를 완전히 잡지 못한다면 굳이 나서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선택을 하는 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궁극적인 솔루션은 AMD에서 완벽한 마이크로코드를 제공하고, MS에서는 윈도우11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지만...
현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은 메인보드에 맞는 dTPM 모듈을 장착하는 것 같다.
이를 위해선 일단 메인보드 메뉴얼을 확인한다.
메인보드마다 장착 가능한 TPM 모듈은 천차만별[각주:1]이기 때문.
내 보드의 경우 아래 캡쳐와 같이 SPI 방식의 TPM 모듈을 지원한다.
LPC 방식의 TPM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도 많은데, 이 두 방식은 아예 호환성이 없다.
만약 같은 SPI 방식인데 핀맵만 다르다면 어떻게 연결이라도 해볼 수 있겠지만...
TPM 모듈의 핀맵을 확인했으면 지른다.
역시 알리익스프레스에는 없는 게 없다.
며칠만에 도착...
포장을 뜯어보니 영롱한(?) TPM 모듈이 나온다.
메인보드의 TPM 모듈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조심해서 꽂는다.
바이오스에서 TPM을 SPI TPM으로 설정하면...
아래와 같은 TPM 장비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윈도우에서도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SSD 수명을 TBW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예측해보자 (0) | 2023.01.24 |
---|---|
라이젠 컴퓨터에서 스터터링 문제 해결 삽질기(fTPM 이슈) (0) | 2023.01.21 |
우분투에 Nvidia 드라이버 설치 삽질기 (1) | 2022.12.24 |
아이폰의 비디오 파일 포맷에 무슨 일이 생긴 건가 (1) | 2022.12.17 |
.dll 파일에서 .lib 파일 생성하는 법 (1) | 2022.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