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에서 돌릴 수 있는 리눅스의 종류가 꽤 많은 것 같다.
하지만, 난 리눅스 공부가 목적이 아니라 Wi-Fi 미디어 구동기가 목적이라, 그것에 적합한 것을 찾기로 했다.
우선 라즈베리 파이 용 리눅스 이미지를 SD 메모리에 쓰기 위한 툴을 준비했다.
내가 선택한 건 Win32 Disk Imager.
다음으로 이런저런 리눅스 판본들을 받아서 설치해봤다.
아마도… Raspbian "Pisces" 이었던 것 같음
그 중 내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것은 Raspbmc.
이 중 Network Image[각주:1]를 다운받아 설치했다.
커피나 한잔 하라는데…
더치 드립이라도 내릴 수 있을 만한 긴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라면을 끓였다… ㅋㅋㅋ
한참의 시간이 지난 뒤에 XBMC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설치한 건 무선 네트워크 모듈.
우선 XBMC를 종료한 뒤에, 명령행[각주:2]으로 들어가 다음의 명령을 입력한다.
1 2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
그런 뒤에 XBMC를 구동하면 프로그램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참고 블로그: neutral)
마지막으로 한 것은 인터페이스 한글화.
XBMC는 기본적으로 글꼴을 Arial based로,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면 한글이 표시된다.
그런데, 그것만으로는 5% 부족하다.
글꼴을 선택하지 않으면 한글이 다 깨져나오기도 하고, 기본 한글 글꼴 자체도 안 예쁘다.
그래서, XBMC Korea 저장소 애드온을 설치한다.
우선, 고품격 FTP 어플인 WinSCP를 설치한 뒤에, 라즈베리 파이의 /home/pi 에 애드온을 복사한다.
그리고, XBMC를 구동해 System > Add-ons > Install from Zip file에서 이를 설치한다.
끝으로, Confluence Korean 스킨을 설치하고, 언어를 변경하면 된다. (참고 블로그: XBMC 사용자 모임)
여기까지 작업을 끝내면 아래와 같이 꽤 예쁜 한글 글꼴을 볼 수 있다. 만세!!
라즈베리 파이+WiFi+XBMC 설치 삽질기 #6 (1) | 2013.02.10 |
---|---|
라즈베리 파이+WiFi+XBMC 설치 삽질기 #5 (0) | 2013.02.10 |
라즈베리 파이+WiFi+XBMC 설치 삽질기 #3 (0) | 2013.02.09 |
라즈베리 파이+WiFi+XBMC 설치 삽질기 #2 (2) | 2013.02.02 |
라즈베리 파이+WiFi+XBMC 설치 삽질기 #1 (2) | 2013.01.31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