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이 영화의 한국 개봉일인 2016년 12월 28일 아침에 비보가 들려왔다.
"영원한 연합군의 공주이자 장군 레아 오르가나" 캐리 피셔 여사가 심장마비로 돌아가셨다.
몇 달 전 "R2-D2" 캐니 베이커 씨가 돌아가신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들려온 소식이라 더욱 슬펐다.
더욱 슬픈 것은 다음날 캐리 피셔의 모친인 데비 레이놀즈 여사[각주:1]도 돌아가셨다는 것이다.
돌아가신 모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여러분이 계셔서 정말로 즐거웠습니다.
R.I.P. Carrie Fisher(Oct.21, 1956 – Dec.27, 2016), Kenny Baker(Aug.24,1934 – Aug.13, 2016)
[에피소드4]의 오프닝 크롤에 나오는 저항군 스파이가 훔쳐낸 데스스타의 설계도가 이 영화의 내용이다.
전쟁 중에 저항군 스파이들은 제국의 최종병기인 데스스타의 설계도를 훔쳐냈고…
사실, 조지 루카스가 디즈니에 [스타워즈]의 판권을 매각하기 전에 이미 이 내용은 구축되어 있었다.
카일 카탄이란 인물이 이 설계도를 훔친 인물이었다.
하지만, 지금 그 세계관은 모두 초기화되었고, 그 내용을 다시 묘사한 영화가 바로 [로그원]이다.
이 영화에는 제다이가 한 명도 등장하지 않는다. (물론 변절한 캐릭터를 포함하면 다스 베이더가 있긴 함)
오히려 일반 병사, 스파이, 전함들이 주요 캐릭터로 등장해서 제대로 된 전쟁영화를 보여준다.
이 영화의 특징이라면 무엇보다 [스타워즈] 답지 않은 영화적 완성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초반의 진과 소우의 얘기까지는 뭔가 부자연스러운 느낌[각주:2]이 있지만, 이후의 전개는 아주 만족스럽다.
특히, 중반 이후 마지막 전투씬까지는 전쟁영화로서 손색이 없다.
비참한 지상전, 대규모 우주전이 어우러진 영상은 [스타워즈] 세계답다고 할 수 있겠다.
게릴라 부대 출발 장면은 70년대 영화스러운 느낌이 있는데, 77년에 개봉한 EP4로 연결된다는 점을 보면 의도적인 것 같다.
스타워즈 팬이라면 반드시 여러 번 봐야 할 영화이고, 팬이 아니라도 우주 SF 영화로서도 손색이 없는, 보면 후회하지 않을 영화.
기타 느낀 점들…
1. 전작들을 안 봐도 된다는 문구가 팜플렛에 들어갔는데, 그냥 犬소리[각주:3]임
2. EP7의 BB-8에 이어 이 영화에선 K-2SO가 스타워즈 세계관에만 등장할 수 있는 드로이드의 모습을 보여줌
인간처럼 감정을 갖고 있으며 자신을 드로이드라 자각하는 캐릭터는 스타워즈 외에서는 보기 힘듦
3. 비록 한 솔로는 없지만, "I've got a bad feeling abo…"는 등장함. K-2SO가 얘기함
4. 다스 베이더, 모프 타킨, 레아 공주, 베일 오르가나 등 전작의 캐릭터들이 대거 등장함
5. 그런 메이저 캐릭터 외에 아래와 같은 캐릭터들도 등장해서 전작들과의 연계성을 명확히 보여줌
6. 특히, 다스 베이더는 EP1~3에서 보여준 얘도 알고 보면 불쌍한 놈 느낌을 완전히 걷어내고 EP4~5의 포스 쩌는 모습을 보여줌
7. 스타워즈 세계관에서 우스꽝스러운 개그로 종종 씹히는 "제국군은 왜 그런 약점이 있는 설계를 했는가"에 대한 진지한 설명이 있음
8. 엔딩 크레딧에서 디즈니 이름을 보고 살짝 놀랄 정도로, 영화 상영시간 내내 디즈니가 생각이 나지 않는 어두운 톤을 보여줌
[에이리언: 커버넌트] 전작들을 모두 지워버린 속편 (1) | 2017.05.28 |
---|---|
[스타워즈 Ep7] Final Trailer (1) | 2015.10.21 |
[스타워즈 Ep7] 트레일러는 죽음이군화!!!! (0) | 2015.04.20 |
[인터스텔라] 많은 걸작들에 대한 거대한 오마주와 집대성 (8) | 2014.11.09 |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범죄 느와르로 돌아온 혹성탈출 (약 스포일러) (0) | 2014.07.13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