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아 한글(이하 한/글)이 처음 알려진 건 월간지 <마이크로소프트웨어> '89년 1월호였다.
이찬진 씨가 '글자 모양에 관한 글'을 연재하면서 '곧 워드프로세서를 공개할 예정'이란 내용을 언급하면서였다.
이후 윈도우 용 한/글이 출시되면서 뭔가 어색함이 느껴지기 시작했는데, 다름 아닌 글꼴 처리.
이찬진 씨가 썼던 글 제목이 무색하게 글꼴을 처리하는 것이 어색하기 짝이 없었다.
'95년 3월에 윈도우용 3.0b가 출시된 이후 무려 22년동안 이 문제는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예컨데, 같은 글꼴(KoPub 돋움체)을 한/글과 메모장2에서 각각 적어보면 아래와 같다.
마치 메모장2 쪽이 더 고급 워드프로세서 같은 느낌…
힌팅 처리를 해서 뭔가 그럴싸한 메모장2와 달리 한/글에서는 굵기가 들쑥날쑥이다.
이 부분에 대해 한글과컴퓨터 사에 정식으로 수정을 요청해봤다.
하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었다.
외부 폰트가 아닌 기본 제공 폰트인 함초롬 바탕을 보고 싶어 질문을 쓴 게 아니지 말입니다
윈도우 환경으로 개발한지 2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윈도우 폰트를 외부 폰트로 인식한다는 점부터가 충격적이었다.
초기에는 도스용 한/글 폰트(*.hft)를 더 잘 처리할 수밖에 없었겠지만, 그 개념을 20년이나 끌고 가다니…
공공기관 쪽과 업무를 하기 때문에 한/글을 안 쓸 수도 없고, 여러모로 참 거시기 한 상황…
아니, 폰트를 완벽하게 처리할 생각이 없더라도 하다 못해 각각 2배씩 늘려 렌더링한 뒤 반띵하는 정도의 꼼수라도 써주면 안 되냐…
Google의 Guetzli는 정말로 높은 압축률을 달성한 것일까? (0) | 2017.03.20 |
---|---|
Guetzli: 구글이 만든, mozjpeg보다 더 압축률이 높은 jpeg 라이브러리 (0) | 2017.03.18 |
ipTIME NAS3 수리 삽질기 (5) | 2017.01.19 |
Wolframalpha로 슬쩍 돌려본 컵라면 뚜껑 부피 문제 (0) | 2017.01.07 |
최초의 컴파일러를 만든 그레이스 호퍼 제독 이야기 (0) | 2016.12.28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