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용으로 NAS를 구축하는 많은 분들은 시놀로지 제품을 사용한다.
하지만, 가난한(?) 난 그런 거 없다…
이번에 친구가 사용하던 ipTIME NAS3를 하나 업어오게 됐다.
NAS3는 나름 토렌트도 지원되고, WebDAV도 지원되는, 그야말로 될 건 다 되는 저가형 NAS이다.
그리고, ipTIME 제품 답게 한 2년 쓰고 나면 수시로 다운이 되는 전원부 결함[각주:1]도 그대로 갖고 있는 제품이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의외로 손쉽게 근본적인 수리가 가능하다.
분해해서 보드에 달린 모든 커패시터를 교체하는 것.
일단 검은색 등판을 분리하면 아래와 같은 모양을 볼 수 있다.
길게 달린 케이블은 3.5" 하드를 연결하기 위한 SATA 연장 케이블
조심조심 뜯어내면(?) 아래와 같이 기판의 윗면을 볼 수 있다.
교체해야 할 커패시터는 총 10개.
10V 220㎌ 6EA
16V 220㎌ 1EA
16V 100㎌ 3EA
모든 커패시터는 음극이 한쪽 방향으로 되어있어[각주:2] 작업시 헷갈릴 일은 없을 것 같다.
각 커패시터 오른쪽의 띠가 음극을 표시함
작업을 도와 줄 친구들은 제일 저렴한 납땜 인두와 솔더링 페이스트.
돈이 없어 납 흡입기니 솔더윅이니 그런 거 없다[…]
커패시터는 모두 같은 규격의 전해 커패시터로 구입했는데, 인터넷 구입 특성상 10-20개씩 사야 한다.
덕분에 실패가 두렵지 않아요!
혹시나 해서 탄탈 커패시터[각주:3]도 찾아봤는데, 딱 맞는 규격의 탄탈을 찾을 수 없었다.
한국 삼영전자 제품을 구매, 품질이 양호해서 이거 쓰고 문제됐단 얘기 못 들음
원래는 납 흡입기나 솔더윅으로 하나씩 녹이면서 납을 제거해야 하는데…
저렴하게 해결하겠다고 구입하지 않아[각주:4] 하나씩 삽질하며 교체함…
결국 두어 시간의 사투 끝에 작업 완료.
조금 더 가까이서 보면 아래와 같음.
당연한 얘기지만, 음극의 방향은 이번에도 모두 오른쪽…
제거한 커패시터들은 아래와 같은데…
좀 놀란 게 ipTIME에서 의외로 멀쩡한 제품을 쓰고 있었다는 것.
Ketuo 제품[각주:5]으로 105도 짜리임. 혹시나 85도 짜리를 사용한 게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일까 했는데 그건 아닌 듯.
이렇게 교체를 마친 뒤 재조립해서 48시간 이상 토런트를 포함하여 하드코어하게 돌리고 있는데, 아무 문제 없음.
커패시터는 그냥 삼영전자 제품 씁시다. 삼영전자 제품 좋아요.
덧1. 일부 부품은 친구의 도움[각주:6]으로 인근 전자상가를 찾아가서 구매했는데, 을씨년스러웠음… 역시 불황은 모든 곳에…
덧2. 혹시나해서 갖고 있던 ipTIME 공유기를 뜯어보니 커패시터 용량이 완전히 달라서 손 대진 않았음.
아마, 이 쪽도 같은 방식으로 작업하면 멀쩡해질 듯.
덧3. HW 문제라고 판단한 이유는 ipTIME 공유기, NAS3 모두 토렌트를 하드하게 돌릴 때 뻗어버리는 현상이 동일하게 발생했기 때문.
덧4. 작업 할 때 따느님이 많이 도와줬는데, 처음 커패시터 보자 마자 "다리 긴 게 플러스죠?"라고 물어 놀라버렸음.
요즘은 남녀 공히 학교에서 기술시간에 LED 부속 등에 대한 지식을 배운다고 함. 세상이 이렇게 조금씩은 나아지는 듯[각주:7].
Guetzli: 구글이 만든, mozjpeg보다 더 압축률이 높은 jpeg 라이브러리 (0) | 2017.03.18 |
---|---|
개선의 의지가 전혀 없는 한/글(한컴) 글꼴 처리 문제 (0) | 2017.03.17 |
Wolframalpha로 슬쩍 돌려본 컵라면 뚜껑 부피 문제 (0) | 2017.01.07 |
최초의 컴파일러를 만든 그레이스 호퍼 제독 이야기 (0) | 2016.12.28 |
1GB 넘는 메모리 할당이 실패하는 경우를 만나다니… (0) | 2016.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