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포맷은 예전에 비해 사용량이 줄었지만, 여전히 많이 사용되는 포맷이다.
GIF의 한계로 지적되는 화질 저하의 예 https://en.wikipedia.org/wiki/GIF
비록 단일 프레임 이미지는 JPEG/PNG에 밀리긴 했지만, 여러 프레임으로 구성된 GIF는 짤방이란 별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짤방의 바람직한 사용예
GIF 포맷의 기본적 특징이자 단점은 256색의 팔레트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로 인한 화질의 저하는 어쩔 수 없는 약점인데, GIF의 특성들을 묘하게 조합해서 트루컬러를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처럼 여러장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각 프레임에 충분한 투명영역을 지정해서 겹치면 트루컬러 GIF를 얻을 수 있다.
믿어지지 않겠지만, 엄연히 GIF임. https://en.wikipedia.org/wiki/GIF
이 이미지의 각 프레임을 추출하면 아래와 같다.
무려 29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인 것이다.
모든 프레임을 한 장에 합친 결과는 아래와 같다.
PNG 포맷으로 저장. 당연하게도 이것을 GIF로 저장할 수는 없음.
libpng와 함께할 최적의 zlib는? (0) | 2016.04.03 |
---|---|
이미지 처리를 병렬화할 때 성능 향상은 어느 정도? (2) | 2016.03.19 |
ImageMagick에서 선택한 기본 리샘플링 필터는? (0) | 2015.09.27 |
libjpeg에서 읽기 중 오류를 인지하려면? (0) | 2015.09.18 |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은 로지스틱 함수와 함께 (0) | 2015.09.15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