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에서 OpenDDS를 구동하는 방법은 OpenDDS 홈페이지에 잘 설명돼있다.
간단히 말하면
리눅스 환경에서 크로스 컴파일해서 파이에 올리는 것
예전같으면 리눅스 머신을 따로 만들거나, 가상머신 위에 리눅스를 올렸겠지만...
우리에겐 WSL이 있습니다, 휴먼.
파워셸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기만 하면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다.
wsl --install
리눅스 명령창이 뜨고, 계정 정보를 입력하면 일단 설치는 종료됨.
OpenDDS 홈페이지의 설명에 따르면 우분투 20.04.3 LTS x86_64 환경에서 테스트되었다고 한다.
설치된 버전은 20.04 LTS이고, 20.04.4 LTS로 업데이트했으니 별 문제 없을 듯[각주:1].
다음 할 일은 당연한 얘기지만, 개발 환경을 설치하는 것.
sudo apt install make
sudo apt install gcc
sudo apt install g++
이제, 컴파일 할 준비는 대체로 완료되었다.
크로스 컴파일러와 OpenDDS 소스를 적절한 위치에 복사해둔 뒤 컴파일만 해주면 된다.
OpenDDS 홈페이지에 기술된 내용만 따라가면 된다.
./configure --target=linux-cross --target-compiler=/opt/cross-pi-gcc/bin/arm-none-linux-gnueabihf-g++
하지만, 컴파일은 계속 실패했다.
수많은 삽질 끝에, 설치된 우분투를 날려버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른 우분투를 다운받아 설치하기로 했다.
22.04 LTS를 설치한 뒤에 동일한 방법으로 컴파일[각주:2]해서 드디어 성공.
이렇게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시 OpenDDS 홈페이지에 적힌 설명대로 파이에 복사해주면 일단 구동 준비는 끝난다.
라즈베리 파이에서 OpenDDS 구동 삽질기 #3 (0) | 2022.07.24 |
---|---|
라즈베리 파이에서 OpenDDS 구동 삽질기 #1 (0) | 2022.07.24 |
KODI에서 SFTP 사용하기 (0) | 2022.02.08 |
LibreELEC (Matrix) 10.0.0 업그레이드 (0) | 2021.09.06 |
라즈베리파이 4 히트싱크 케이스 설치 (1) | 2020.02.22 |
댓글